reading

『 인문학으로 광고하다 』

  아, 강창래는 그만의 호흡이 있구나. 152쪽에 이르러 그에 대한 부대낌이 미안함으로 바뀌었다.
     지승호는 지승호고, 강창래는 강창래구나. 나같은 놈에게도 씹혀야 하는 걸 보면 책은 아무나 쓰는게 아닌가보다.
     그의 프로필에 턱하니 박혀있는 '중앙일보'를 보고 바로 낙인을 찍어버린 나도 참 조중동스럽다.
     반성.

     독서는 지극히 개인화된 경험일 수 밖에 없나보다.
         박웅현에게는 미안하지만, 이 책을 읽는 내내 지금 연구중인(꼴에 ?) 지식 정보 편집에 대한 힌트를
         찾기에 바빴다. 그리고 나름의 힌트를 찾았다.
         강창래의 글을 쓰는 방식+박웅현이 말하는 방식.에서 찾은 에디팅 ...헉. 이거구나 !

        『 가장 듣고 싶은 한마디 yes』에서 김태원이 예로 들었던 [로마의 기둥]에서 역시 뭔가 건질줄 알았다.
            그리스 신전 , 앙코르 와트 사원을 거쳐 유럽 고전 속의 편집술로 이어졌다는 마쓰오카의 9년전 말이
            이제서야 이해가 된다. 그와 내가 찾는게 다르다는게 문제지만 말이지. --;

            ┗ 정말 웃기는 일이다. 박웅현,강창래,김태원. 저들의 책 자체도 소화하지 못한 주제에 내가 풀고싶어하는
                문제에 대한 답만 찾으려드는 것도 그렇고, 힌트를 찾은게 그렇다.
                9년 전에 읽었던 한 문장이 방금 전 되살아난 이 드라마틱함이란 --;
                아, 그렇구나!딴생각하기 위해서 더 열심히 읽어야 겠다. 
                서로 연관 없어 보이는 책 속에서 파도를 타다보면 어느순간 자신이 찾던 답을 찾게 되는구나.
                아르키메데스가 유레카를 외쳤던게 이제서야 수긍이 간다.  유레카 !


『 가장 듣고 싶은 한마디 yes 』
  
  
김태원->『 인문학으로 광고하다 』-> 김태원/192쪽 [로마의 기둥] ->마쓰오카 세이고/ 텍스트로서의 건축 
      -> 앙코르 와트 -> 그리스-로마의 Topica 추론형 편집술 -> 아리스토텔레스 -> [토포스학]에 이르렀다.
      이제 유럽 고전속으로 들어갈 차례다.  
      김태원,마쓰오카 세이고, 박웅현, 강창래, 아리스토텔레스. 이렇게 Link될 수도 있구나. + 키케로 추가.

      키케로와 이렇게 만나게 되는구나. 당신을 만나려고 대체 몇 사람을 거쳐온거유 ? 좋은 건 좀 나눕시다.



『 혁명은 이렇게 조용히 』

  "승자독식시대의 경쟁을 내면화한 사람들은 아주 이지적으로 보이지만 실은 이렇게 감정적이다"
     - 본문 10쪽, 조한혜정 교수의 추천사.
  
    조한혜정 교수의 글을 읽고 싶어서 우석훈 교수의 책을 폈다. 앞장만 살짝 보고 갈려고 했더니
    저 문장이 눈에 들어오더니만 기억 속에서 진중권과 디오게네스, 그리고 정혜신과 김어준이 튀어나왔다.
    

    " 내가 대왕이 아니었더라면 디오게네스로 태어나고 싶다. 그래도 끝까지 대왕이 되고 싶었는데 "
      디오게네스가 '나는 개다'라고 이야기했거든요. 욕망 자체가 다른 거죠. 대왕이 갖고 있는 정복욕이나
      타인을 지배하고자 하는 욕망들이 어떤 한 사람 앞에서 완벽하게 무력화됐습니다.
      그런 삶의 태도가 바로 자동사로서의 욕망이라는 거죠. (중략)
      
      자기에 대한 욕망, 자기를 긍정하는 사람들은 남한테 인정을 받을 필요가 전혀 없어요.
      왜냐하면 내가 나를 인정하거든요. 뭐가 더 필요합니가 ? (중략) 가장 중요한 건 내가 나를 인정하지
      못하는 상태, 그게 사람들한테 중요한 문제죠.(중략)
      정말로 권력이 있는 사람들은 남한테 인정받으려고 하지 않습니다. 굳이 그럴 필요가 전혀 없거든요. 
      - 『 21세기에는 지켜야 할 자존심』중 진중권의 [자존심의 존재 미학] , 2007/03/19

   
     
      정혜신 : 요즘 주변을 보면 직접 몸으로 부딪치거나 자신을 시험할 수 있는 과정이 철저히 봉쇄된다.
                  겪은 만큼 성장하고 시행착오나 실수도 해보면서 이걸 해석하고 자기 확신으로 연결되는
                  순환고리가 있어야 하는데 곳곳이 막혀 있다. 사회적,문화적,가정적으로 모두 말이다.

      김어준 : 결국 공교육의 문제와 연결된다.우리 교육은 상위 1프로를 뺀 나머지를 낙오자로 만드는
                  시스템이다. 패배의식을 체계적으로 내면화한다.
   
      정혜신 : 절대적으로 내가 나를 느쎠서 얻는 게 자존감이라면, 자신감은 외적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김어준 : 자신감은 사실 동전의 양면처럼 패배의식을 동반한다. 외부에서 내가 감당할 수 없는 조건이 
                  제시되면 무너질 수밖에 없으니까. 예를 들어 공부 잘해 남에게 인정받아 만들어진 자신감은
                  나보다 공부 잘하는 놈 앞에서 무너지게 되어 있다. 하지만 스스로 구축한 자존감은 남의 승인이
                  필요없다.

      - 2008년도에 한겨레에서 기획한 정혜신 박사와 김어준의 인터뷰를 읽고 짜집기 해뒀던 메모.

   

thinking


+ 예비군 동미참 훈련 다녀온 날. 무기력하게 널부러진 예비군들. 유난히 열정적이었던 교관을 따라
  흐느적거리던 우리는 좀비들 같았다.  요새 나오는 좀비들은 빠르기라도 하지.
  ┗ 동미참 훈련 받으러와서까지 책 붙들고 취업준비 하던 친구가 생각난다.
      농협 들어갈려고 공부하나본데 눈물겹다. 부디 붙기를. ㅅㅂ 이게 정상이야 ?


단순히 지식 베이스를 구축하는건 아무 의미가 없다.
A Golden Fireworks for Laetitia …!!!
A Golden Fireworks for Laetitia …!!! by Denis Collette...!!!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애초에 시작점이 잘못 되진 않았을까 ? 왜 정보를 가둬두려는데 ?
 스스로 살아움직이고 관계지어져 있는 상태로 생각해보자. 

 아, 파이널 판타지에서 봤던 Life stream 

 힌트가 되지 않을까 ? 자연이 엔트로피를 어떻게 다루는지 공부해보면 뭔가 잡히지 않을까 ?
 뇌는 어떻고 ?

  거꾸로 생각해보자. 자연 이전, 인간 이전으로 돌아가보자.
      그 시작점이 있을거아냐. 분절화되기 이전. 생명이 막 분절화되기 직전으로 되돌아가면 ?
         DNA.
            다시 마쓰오카 세이고한테 걸려드네. 벗어날 수가 없구나 --;
            
            [A + T + C + G]  

           

            [출처 : http://en.wikipedia.org]
      
      
           
Crystal DNA
Crystal DNA by jpctalbot 저작자 표시

Doble Hélice de ADN… hecha de libros
Doble Hélice de ADN… hecha de libros by alvy 저작자 표시동일조건 변경허락


하악..폭주하는구나. 내일 다시.  
   
surfing

Posted by 시냅스
: